• 전체메뉴
  • 최신기사
  • 정치
  • 사회복지
  • 장애인복지
  • 아동청소년
  • 인권
  • 문화
  • 건강
UPDATA : 2025년 08월 28일
  • 최신기사
  • 정치
  • 사회복지
  • 장애인복지
  • 아동청소년
  • 인권
  • 문화
  • 건강
  • HOME
  • 장애인복지

장애인복지

2022년 달라지는 장애인보건복지정책

오늘은 2022년 달라지는 장애인보건복지정책!  Ⅳ. 건강. 생활 지원 분야 중에서  여섯번째 사업인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사업 비대면 종합조사 도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장애등록심사를 완료한 시각·지적·자폐성·언어 장애인에 대해 장애인 보조기기 교부사업 신청 시 비

김휘경 기자 2022-04-25 11:29

[경남조은장애인평생학교] 현장체험학습 (4/21,4/22)

2022년 첫 현장체험학습 남지 체육공원으로 다녀왔습니다.유채꽃과 튤립을 구경하며 사진을 찍고 낙동강변길을 따라 걸으며 즐거운 시간을 가졌습니다.경남조은장애인평생학교에서는 문해교육과 더불어 장애인들을 위한 다양한 평생교육프로그램을 매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정헌수 기자 2022-04-25 10:43

서울시장애인체육회X장애인고용공단,장애인체육직무 활성화 위한 MOU

서울시장애인체육회X장애인고용공단,장애인체육직무 활성화 위한 MOU]서울시장애인체육회가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하 공단) 서울지역본부 3개 지사와 '장애인 체육직무 활성화를 위한 훈련 업무협약'을 맺었다.서울시장애인체육회는 지난 22일 공단 서울지역본부, 남부지사, 동부지사

김휘경 기자 2022-04-25 08:59

코웨이, 장애인 고용 확대 나선다

코웨이, 장애인 고용 확대 나선다코웨이가 지난 21일 한국장애인고용공단과 장애인고용증진 협약을 체결하고 장애인 고용을 통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을 선언했다.24일 코웨이에 따르면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서울맞춤훈련센터에서 진행된 이번 체결식에는 박화진 고용

김휘경 기자 2022-04-25 08:51

"뜨레봄"에서 딸기, 상추, 고추, 땅콩을 심었습니다.

"뜨레봄"에 딸기, 상추, 고추, 땅콩을 심었습니다발달장애인활동지원센터 "뜨레봄"에서는  4월 22일 화분에 과일과 채소를 심었습니다.화분을 만들어 흙을 넣고 다졌으며 여기에 딸기 상추 땅콩 고추나무를 함께 심었습니다.  만든사람의 이름도 붙였습니다.열심히 불을 주고

김휘경 기자 2022-04-22 12:34

장애인의 날 맞아 편견 넘어 차별 없는 세상 만든다

장애인의 날 맞아 편견 넘어 차별 없는 세상 만든다하동지체장애인협, 기념식 개최, 윤상기 군수ㆍ박성곤 의장 참석복지증진 유공자 등 도지사 표창, 모범장애인 11명 등 군수 표창지난 20일 제42회 장애인의 날 기념식이 알프스하동종합복지관 대강당에서 개최한 가운데 윤상기

김휘경 기자 2022-04-22 09:27

현대重그룹1%나눔재단, 장애인 복지시설에 3억6천만원 지원

현대重그룹1%나눔재단, 장애인 복지시설에 3억6천만원 지원전국 25개 장애인 복지시설 선정장애인 실질 도움 제공할 우수 프로그램 발굴생활개선, 자립교육, 치유 등 다양한 프로그램 지원[서울=뉴시스] 현대중공업그룹1퍼센트나눔재단 후원자인 조민호 매니저(오른쪽 두 번째한국

김휘경 기자 2022-04-22 09:25

"도예작품을 멋지게 만들었어요"

"도예작품을 멋지게 만들었어요" "뜨레봄"(발달장애인활동지원센터)에서는 도예체험활동(4월 21일) 다녀왔습니다.도예 작품을 열심히 만들었어요,  손으로 만지고 문지르면서  정성껏 만들었어요, 

김휘경 기자 2022-04-22 08:43

거제애광학교, 재미있고 신나는 과학의 날

거제애광학교, 재미있고 신나는 과학의 날-사이언스 매직 콘서트와 친환경 물병 만들기로 레벨 업!-거제애광학교(교장직무대리 교감 강욱희)는 4월 21일 과학의 날을 맞아 전교생을 대상으로 과학의 날 행사를 운영했다.사이언스 매직 콘서트, 친환경 물병 “오호” 만들기, 5

김휘경 기자 2022-04-22 08:31

2022년 달라지는 장애인보건복지정책

오늘은 2022년 달라지는 장애인보건복지정책!  사업 중에 Ⅳ. 건강. 생활 지원 분야 중 다섯번째, 장애인통합복지카드(A형) 전국 재발급 신청 가능 사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장애인등록증에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기능이 부가된 장애인통합복지카드 (A형)에 대해 전국

김휘경 기자 2022-04-21 10:06

⌜제42회 장애인의 날(4.20)⌟ 기념, 장애인복지 분야 유공자 포상

⌜제42회 장애인의 날(4.20)⌟ 기념, 장애인복지 분야 유공자 포상- 국민훈장 모란장에 (사)부산국제장애인협의회 강충걸 회장 등 총 88명, 정부포상 받아 -장애인과 함께 호흡하고 오랜 시간 동안 장애에 대한 문턱을 낮추는데 헌신해 오신 총 88명*의 유공자들이 정

김휘경 기자 2022-04-21 09:48

성산구,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민관합동 인식개선 캠페인 전개

성산구,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민관합동 인식개선 캠페인 전개창원시 성산구(구청장 안병오)는 장애인의 날을 맞이하여 19일 반송동 일대에서 장애인전용주차구역 불법 주·정차 감소 및 시민 인식개선을 위한 민·관합동 캠페인을 전개하였다.이날 장애인전용주차구역에 대한 올바른 인식

김휘경 기자 2022-04-21 09:18

문 대통령 "장애인 이동권 더 배려 못한 우리의 무관심 자책해야"

문 대통령 "장애인 이동권 더 배려 못한 우리의 무관심 자책해야"문재인 대통령은 제42회 장애인의 날을 맞아 "장애인들의 이동권에 더 배려하지 못한 우리 자신의 무관심을 자책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문 대통령은 오늘(20일) 오전 SNS 글을 통해 "차별 없는 세상이

김휘경 기자 2022-04-21 09:16

"발달장애인, 국가가 책임져야"…장애부모단체 단식농성

"발달장애인, 국가가 책임져야"…장애부모단체 단식농성"尹, 발달장애인 정책 국정과제 채택해야"4명 단식 돌입…"최후수단, 함께 살아가자"전날에는 부모 등 '555명 삭발식'도 진행[서울=뉴시스] 김병문 기자 = 발달장애인과 가족 550여 명이 지난 19일 오후 서울 종

김휘경 기자 2022-04-21 09:12

2022년 달라지는 장애인보건복지정책

2022년 달라지는 장애인보건복지정책!  오늘은 건강. 생활 지원 분야 중 네번째, 장애인 교통 복지카드전국 지하철 이용 가능 사업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장애인 교통복지카드*로 전국 지하철에서 무임승차서비스 이용 가능 (’22. 9월 예정)* 지하철 무임승차 기능

김휘경 기자 2022-04-20 14:21

  • 146
  • 147
  • 148
  • 149
  • 150

최신기사

2025-08-28 08:21
장애인복지

뜨레봄의 발달장애인들이 전시회장을 찾아 별과 꿈을 그린다.

2025-08-28 08:04
최신기사

MICE 트렌드를 한 눈에, ‘2025 경남 마이스 포럼’ 성료

2025-08-28 08:03
최신기사

경남도, 세계한민족여성네트워크 대회서 여성 리더 연대 강조

2025-08-28 08:02
최신기사

경남도, 민선8기 도정과제 137개 성공적 이행에 총력

2025-08-28 08:01
최신기사

경남도, 민선8기 도정과제 137개 성공적 이행에 총력

장애인복지 인기기사

  • 1

    [발달장애인주간활동센터 뜨레봄] 바다물놀이활동에 흠쁙빠진 발달장애인들... (7월31일)

  • 2

    [발달장애인주간활동센터 뜨레봄] 발달장애인의 천연염색 체험활동 (8월8일)

  • 3

    발달장애인주간활동센터 뜨레봄 작품전시회 " 뜨레봄의 별, 꿈을 그리다 " (8.27일 ~ 8.29 까지)

  • 4

    발달장애인 작품전시회 "뜨레봄의 별, 꿈을 그리다" 개최 (8.27일~8.29까지)

  • 5

    박영수 짜장과 함께하는 진해 장애인 짜장 day!

신문사소개

  • 신문사소개
  • 개인정보취급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이메일수집거부
  • 광고·제휴문의

제호 : e-경남 사회복지문화신문 | 법인명 : 사단법인 청소년복지진흥원 | 등록번호 : 경남,아02497 | 등록일자 : 2021년 05월11일
발행인 : 최칠환 | 편집인 : 김휘경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휘경 | 주소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중앙대로 95, 604-2호
발행일자 : 2021년 5월11일 | 대표전화 : 055-266-0132 | FAX : 055-266-0710

e-경남장애인 복지신문의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1 knjbokji.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