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특례시, 2024년 청소년참여위원 위촉식 개최청소년참여위원 28명 위촉장 전달, 청소년의 복지 증진 기여 기대창원특례시(시장 홍남표)는 지난 13일 시청 제3회의실에서 청소년참여위원 및 수련 시설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2024년 창원시 청소년참여위원 위촉식을 개최
창원특례시, 5월 가정의 달 맞이 누비전 70억 발행디지털 취약계층(노령층) 구매기회 우선 부여1959년 이전 출생자 5. 1. ~ 5. 2. / 1960년 이후 출생자 5. 3. 구매가능창원특례시(시장 홍남표)는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지역경제 활성화하고 소비 촉진하
함양군, 겨울철 복지위기가구 발굴·지원 우수 지자체 선정 경남 함양군은 2023년 겨울철 복지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 우수 지자체로 선정되어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고 8일 밝혔다.보건복지부는 전국의 지자체를 대상으로 매년 자체적인 위기가구 발굴, 민·관
창원시 가족·청소년·대학생·청년봉사단 통합발대식 개최빗물받이 쓰레기 투기 예방 캠페인 실시창원특례시(시장 홍남표)는 13일 시청 시민홀에서 가족·청소년·대학생·청년봉사단의 단원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통합발대식과 함께 자원봉사활동을 실시했다고 밝혔다.이날 통합발대
창원특례시, 2024년 ‘해양안전 지킴이’ 모집창원특례시(시장 홍남표)는 최근 연이은 어선 사고로 인명피해가 지속 발생함에 따라 오는 5월부터 9월까지 창원시 해양 안전을 책임질 해양안전지킴이 2명을 모집한다고 13일 밝혔다.창원시는 사업비 2천 4백만 원을 들여 해양
사랑의달팽이 '인공달팽이관 수술 및 외부장치 교체 지원사업' 안내청각장애인 및 난청인을 위해 사회적 인식개선, 문화행사 등을 진행하는 사단법인 '사랑의 달팽이'에서인공 달팽이관 수술 및 외부장치 교체 지원사업을 시행한다고 하여 안내드립니다.가. 모집기간: 상시모집나.
의창구, 2024년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 현장 모니터링 실시 창원특례시 의창구(구청장 곽기권)는 2024. 4. 8. ~ 19.까지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에 참여하는 어르신 격려 및 애로 사항 청취 등을 위해 현장 모니터링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현장 모니터링은 노인사
“잡케어 서비스로 잘 알지 못했던 IT직종에 대한 정보도 얻었고, 나의 직무역량 분석과 관련 직종에 필요한 자격증, 직업훈련정보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잡케어 덕분에 인프라 엔지니어로 취업할 수 있었습니다”(대학교 졸업생 윤○○)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은 4.1
오는 6월부터 공무상 재해로 숨진 공무원의 자녀·손자녀는 만 24세까지 재해 유족급여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출퇴근 경로의 일탈이나 중단이 있더라도 일탈 또는 중단이 일상생활에 필요한 행위인 경우는 그 후의 이동 중 사고도 출퇴근 재해로 인정된다. 인사혁신처는 이
경남자치경찰위, 교통 약자 보호구간 내비게이션으로 알린다 - 11일, 경남자치경찰위-아이나비‧티맵-경남경찰청 업무협약 체결- 노인․어린이․장애인 보호구역과 마을주민 보호구간, 내비게이션 음성 안내 경상남도자치경찰위원회(이하 위원회)는 11일 자치경찰위 회의실에서 경남경
마산회원구, 노인일자리 활동 현장 방문으로 안전사고 예방에 주력 - 노인일자리 참여 어르신 670명 대상 12개 읍·동 모니터링 실시 -- 창원특례시 마산회원구(구청장 김화영)는 지난 5일부터 24일까지 2024년 노인사회활동지원사업의 안전한 일자리 환경 조성을
경남도, ‘고령자 일자리 지원 전담센터’ 운영으로퇴직 인력 맞춤형 일자리 제공 - 고령자(60세 이상) 재취업 돕는 ‘고령자 일자리 지원 전담센터’ 운영- 일자리 지원기관 간 연계를 통한 취업 지원 활성화 및 지원시책 홍보 경남도(도지사 박완수)는 60세 이상 고령자의
대형유통업체, 창원특례시에 종량제봉투 판매수수료이윤 5,119만원 기탁21년 3월 전국 최초, 시-대형유통업체-공동모금회 봉투 판매수수료이윤 기탁 협약창원특례시(시장 홍남표)는 8일 시청 접견실에서 관내 대형유통업체 16개소에서 기탁한 『종량제봉투 판매이윤 나눔사업』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은 4.8.(월)「과정평가형 국가기술자격* 운영 성과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2022년 과정평가형 자격 취득자(9,359명)와 검정형 자격 취득자(234,654명)를 비교 분석한 결과, 취업률, 직무역량, 기업의 지속 채용 의향 등 주요